현재 직장에 다니고있어 4대가 들어갑니다. 직장외에 알바를 하는데 가게서 일용직 신고를 해야된다고 합니다. 직장에 다니고있는데 일용직 신고를 또 해도 되나요?
안녕하세요 질문자님
✅ 1. 직장 다니면서 일용직 신고해도 괜찮을까요?
네, 가능합니다.
일용직은 ‘단기 근무’ 형태로 하루 단위로 고용되는 경우를 말하며, 근로계약이 1일 단위거나 3개월 미만 고용 시 일용직으로 분류돼요.
이 경우 해당 알바소득은 일용직 근로소득으로 신고ㆍ원천징수되며,
직장 근로소득과 별도로 관리됩니다.
즉, 일용직 신고 이후에도 메인 직장 근로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요.
✅ 2. 세금 신고는 어떻게 되나요?
일용직 소득은 분리과세 대상이어서, 별도의 신고는 필요 없거나 간단한 처리로 끝납니다.
다만, 한 사업장에서 3개월 이상 근무하거나 주 60시간 이상 일하는 경우,
상용 근로자로 전환되어 4대보험 가입 대상이 되고,
해당 소득은 근로소득으로 합산해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가 필요해집니다.
✅ 3. 4대보험 이중 가입될까요?
고용보험은 이중가입이 불가능합니다.
두 곳 이상 사업장에 다니더라도, 한 곳에만 가입되며
우선순위에 따라 결정됩니다.
반면 건강보험, 국민연금, 산재보험은 중복 가입 가능하며,
각각의 사업장에서 별도로 보험료를 산정해 부담하게 됩니다.
✅ 어떤 경우에 주의해야 할까요?
장기간 같은 일용직 자리가 반복되거나, 1개월 이상 계속될 경우
→ 상용 근로자 기준에 해당될 수 있으며,
→ 4대보험 가입 및 신고 의무가 발생할 수 있어요.
수입이 연말정산 기준에 반영되지 않거나, 여러 알바처에서 일할 경우
→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으로 연결될 수 있으니,
→ 알바처에서 발급해 주는 원천징수영수증이나 입금 내역을 잘 기록해 두는 게 좋습니다.
★ 혹시 다니고 계신 직장에서 겸업 금지 조항을 설정하고 있다면 이건 회사에 확인해보시는 게 좋습니다
도움 되시는 내용이었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!
참아야지! 참아라!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. 친구여, 정말 자네 말이 맞네.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,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.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- 괴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