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0년 입사하고, 2022년퇴직하며 퇴직금을받았는데요2024년12월 "같은곳"에 입사해 현재까지 하고있는데2025년 12월. 즉, 365일이상근무시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.그리고 조건에관해서 궁금한건데주당15시간이상을 해야 받을수있는걸로알고있는데12월~6월은 주40시간근무를 하였는데, 개인사정으로인해 7월 첫째주,둘째주는 근무를 하지 못했습니다(3째주부터는 32시간 근무 예정입니다)이러면 12월까지 근무하더라도 퇴직금정산을 받을 수 없나요?
항목 | 귀하의 경우 | 비고 |
재입사일 | 2024.12월 | 새로운 근속기간 시작 |
퇴직예정일 | 2025.12월 | 365일 이상 근무 예정 → OK |
근무시간 | 대부분 주 40시간 → 7월 이후 주 32시간 | 주 15시간 이상 유지 → OK |
결론 | 퇴직금 지급 대상입니다 |
단순히 일주일 중 몇 주 빠졌다고 무조건 제외되는 것이 아니라, 전체 기간을 봤을 때 평균적으로 15시간 이상이면 퇴직금 대상입니다.

수습기간·재입사·육아휴직… 퇴직금 받을 수 있을까요?
퇴직금은 근로자의 중요한 권리입니다. 1년 이상 근무하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걸까? 수습기간, 파트타임, 재입사, 육아휴직, 퇴직금 중간정산까지 자주 묻는 퇴직금 핵심 이슈를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. “퇴직금은 받게 되나요?”“1년 조금 안 됐는데 받을 수 있나요?”“예전에 퇴사한 적 있는데 다시 입사하면 근속이 이어지나요?”이런 질문, 생각보다 정말 많습니다.퇴직금은 단순히 근무 ‘기간’만 채운다고 생기는 게 아닙니다.‘주당 근무 시간’, ‘재입사 여부’, ‘휴직이나 결근’, ‘계약 조건’ 등에 따라받을 수도 있고, 못 받을 ...
wildlili.tistory.com
참아야지! 참아라!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. 친구여, 정말 자네 말이 맞네.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,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.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- 괴테